목록한국전통 (83)
이번생은 처음이라

석씨의 본관으로는 경주 석씨가 있다. 성주 석씨가 있다. 성산 석씨가 있다. 밀양 석씨가 있다. 대구 석씨가 있다. 해주 석씨가 있다. 광주 석씨가 있다. 전주 석씨가 있다. 이 외 23본이 있다. 이 중 연원을 전하는 본관은 충주 석씨가 있다. 해주 석씨이다. 조주 석씨이다. 총 3본이다. 인구수는 2015년 인구조사 기준으로 49,203명이다. 그 중 충주 석씨가 42,811명으로 가장 많다. 해주 석씨 조주 석씨 성주 석씨의 경우에는 임진왜란 당시 군권을 쥔 명나라의 병부상서였다. 위기에 빠진 조선에 지원군을 보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래서 파병 반대파와 만력제를 설득시킨 인물인 석성의 장남 석담이 조선에 망명하였다. 그렇게 세운 귀화 본관이다. 조주 석씨 또한 석성의 아들 석재금이 세운 ..

반씨는 흔하지 않은 성이다. 유명한 인물로는 반기문이 있다. 반윤희 인터넷 얼짱이 있다. 본관은 기성 반씨가 있다. 광주 반씨가 있다. 남평 반씨가 있다. 3본이 있다. 모두 같은 분파이다. 기성은 거제도의 옛 지명이다. 기성반씨를 거제반씨라고도 한다. 시조는 고려 원종 때 왜구를 토벌한 공으로 거제부원군에 봉해진 반부이다. 그의 현손 익순은 우왕 때 좌시중을 지냈다. 익순의 아들 복해는 우왕 때 문하좌시중 겸 찬성사를 역임하였다. 조선에서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였다. 또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국해이다. 남평반씨의 시조는 고려 말 조선 초에 걸쳐 이조판서와 예조판서와 좌찬성 등을 역임하하였다. 영평군에 봉해진 자건이다. 그의 5세손 침은 진도군수가 되어 남평으로 낙향하였다. 그의 증손 상주는 장성에서 대..

유씨와 류씨는 어떤 차이가 있을지 궁금했다. 친구 중에 류씨가 있었다. 어느날 갑자기 유씨로 바꾸었다. 그래서 궁금했다. 2015년 인구총조사에서 유로 쓰는 내국인은 총 478,990명이다. 남자 228,585명이다. 여자 250,405명이다. 류씨로 쓰는 내국인은 163,703명이다. 본관은 문화 유씨가 있다. 전주 유씨가 있다. 고흥 유씨가 있다. 진주 유씨가 있다. 서산 유씨가 있다. 풍산 유씨가 있다. 영광 유씨가 있다. 선산 유씨가 있다. 정주 유씨가 있다. 이 외 55본이 있다. 원음은 류 이다. 두음 법칙에 따르면 2007년까지 공문서에서는 유 라고 썼다. 예전부터 류 씨들은 20% 이상이 두음 법칙을 따르지 않았다. 한글로 류 라고 썼다. 그래서 계속 정부에 개정을 요구한 끝에 2007년 ..

선씨는 옛부터 복호촌에 정착했다. 복호촌은 지금의 전라남도 보성군이다. 본관은 보성 단일본이다. 보성선씨의 시조는 선윤지이다. 고려말 전라안렴사를 지낸 선윤지를 시조로 한다. 선윤지는 고려 우왕 때의 인물로 전라도안렴사로 있었다. 전라도 해안 지방에 넘나드는 왜구를 소탕하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공을 세웠다.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보성에 정착하였다. 보성선씨는 전국의 95%이상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성과 도촌을 세거지로 하는 선용신을 시조로 하는 선씨도 있다. 후손은 5% 미만이다. 선용신은 각종 역사서나 문헌에 실존여부는 나타나지 않는다. 선용신을 중시조로 하는 도촌파이다. 선씨가 중국 노나라 대부인 선백의 후손으로 한나라 말기에 한반도로 이주하였다. 보성 지방에 정착해 살았다. 고려 원종 때의..

한국의 서씨는 2015년 조사에서 751,704명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13위이다.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Seo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Seo가 약 77%이다. Suh가 약 17%이다. Su가 약 1%이다. Sur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이다.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Seo이다. 뿌리가 생각보다 많다. 개중에는 한족계도 일부 섞여 있다. 부여 서씨는 백제 왕실의 후손이라고 한다. 그 근거로 내세우는 게 백제 왕손인 부여융이 당나라 황제에게 서씨라는 성을 받았다. 일단 기록이 없다. 하지만 바이두백과 문서에는 부여융묘지명에 부여융이 후에 서여융으로 성씨를 변경한 기록이 있다. 부여 서씨 족보의 부여융이 성씨를 서씨로 고쳤다. 이런 기록이 사실일 수도 있다. 다만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