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생은 처음이라
꽃신의 유래 본문

한국의 전통 신발을 알아보려 한다. 당혜라고 부르기도 한다. 신은 다른 복식처럼 인간 생명의 필요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실용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사회문화의 발전에 따라 장식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의례적인 기능을 확립하였다. 따라서 신분과 성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소재, 무늬, 색깔이 발달했다. 삼국시대의 고분벽화와 출토유물로 미루어 볼 수 있다. 한국의 신은 조선시대까지 기본적인 형태에 거의 변화가 없다. 형태에 따라 목이 높은 장화 같은 꽃과 목이 없는 혜, 고무신 같은 혜로만 나뉜다. 고대에는 가죽이나 풀을 이용해 신들을 만들었다. 삼국시대에는 화려하게 조각된 금동불을 볼 수 있다. 나무 나막신도 있다. 출토품이 가장 많은 금동리 경관은 실제 착용 신이 아니다. 실제 사용하였다는 관점으로 나뉜다. 고려시대의 신은 유물이나 문헌 기록이 거의 없어 직접 조사하기가 어렵다. 조선시대에는 문화가 그 어느 때보다 발달되었다. 신분계층이 복잡하고 신의 종류가 다양해 착용이 엄격하게 제한되었다. 황족들은 제복에 검정 빨강 파랑 돌을 입었고 평상복에는 초녹피화 은혜 피화 흑피화 온혜를 착용했다. 백인 관료는 면화를 착용했다. 귀족은 태사혜 발막신 투혜 진신 탄해 은혜를 입었다. 서민은 미투리 짚신 나막신을 착용했다. 가죽으로 만든 갖신은 맑은 날 신는 마른신이다. 눈 오는 날과 비 오는 날 신는 진신으로 나뉜다. 여윈 신들은 태사혜, 탕혜, 은혜로 가죽을 기름으로 짠다. 바닥에 징을 놓아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한 것이 진실이다. 유혜 또는 경신이라 불렸다. 각계각층이나 귀족이 착용한 테사혜는 가장 화려한 신이다. 양털은 천이나 가죽으로 만들었으며 코와 등축에는 무늬가 새겨져 있고 바닥은 청색 내피다. 발막신은 상류층 노인들이 많이 착용했다. 등과 코 솔기가 없고 코끝이 넓었으며 가죽 조각을 놓아 가볍게 했다. 당혜는 상류층 여성이나 귀족들이 결혼식을 올릴 때 준비한 소중한 신이었다. 신광에는 원래의 문이 수 놓여 있다. 붉은 바탕에 푸른색 무늬를 아오키 띠라 했다. 푸른색 바탕에 붉은색 무늬를 홍목대라고했다. 아오키 대는 나이가 지긋한 사람이 착용하였다. 운 혜는 온혜라고도 하며 모양이 당혜와 비슷하다. 바닥은 가죽으로 덮인 단지로 정자 같은 것이 아름답게 꾸며져 있다. 제비처럼 생겼다 하여 여성과 여성이 제비 부리신이라고도 하였다. 허동화 꽃 구두는 주로 젊은 여성들이 신었다. 여러 장의 천 위에 청 적색 무늬의 비단이다. 매화꽃과 대나무, 나비로 아름답게 꾸며 배경색과 반대로 색을 칠했다. 게타는 나무로 만들어 남녀노소가 신었다. 초기 형태는 평평한 판에 끈을 단 일본의 게다 형태로 네 발로 발전했다. 나무 밑에 굽이 두 개 달린 게다로 바뀌었다. 게타는 무겁고 작업이 불편해 승마나 장거리 때 신지 않았다. 전통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착용되었다. 가난한 학자뿐 아니라 착용할 수 없는 일반인도 착용하였다. 미스리는 인삼으로 만들었다. 삼신이라고도 하였다. 삼신의 모양은 길고 가늘다. 오늘의 감각에 맞게 열심히 신은 전통 구두가 옷에 맞지 않아 아쉽다. 꽃신은 조선 중반을 넘어가면서 온돌이 대중화 되었다. 그래서 입식 생활에서 좌식생활이 보편화되었다. 좌식생활로 바뀌면서 기존 장화 형태의 신발 대신 꽃신이 대중적인 신발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전통 과자 약과 만드는 법 (0) | 2022.02.17 |
---|---|
한국의 전통 주류의 종류 (0) | 2022.02.16 |
한국의 전통음식 비빔밥 만드는 방법 (0) | 2022.02.14 |
대한민국 고유의 의복 한복알아보기 (0) | 2021.10.04 |
한국 전통음식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