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생은 처음이라
대한민국 고유의 의복 한복알아보기 본문
전통한복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상과 관습 등의 양식과 정신이 깃든 한복이다. 우리 고유 의복이다. 치마가 있다. 저고리가 있다. 바지가 있다. 두루마기에는 조끼와 마고자가 포함된다. 1600여년간 이어진 고유 한복의 전통성은 세계에서 제일 길다. 그것은 고구려 고분벽화와 신라, 백제 유물로 확인할 수 있다. 한복에 대하여 흔히 보통 조선 후기의 복식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엄밀히 말해 한복은 특정 시기의 특정 복식이 아닌 한민족 전통 의상을 가리킨다. 우리의 전통미를 상징하는 한복이다. 특히 여성 한복은 세계적으로 그 아름다움을 인정받는다. 직선과 곡선이 어우러져 화려하고도 단아한 자태를 풍기는 치마와 저고리는 우리 고유의 전통 의상이다. 팔을 끼워 넣어 입는 저고리는 상체를 작게 보이게 하고, 허리에 감아 입는 치마는 하체를 풍성하게 보이도록 만들었다. 균형을 잡아준다. 한복 치마저고리의 구조와 변천이 있다. 한복을 바르게 곱게 차려입기 위해서는 한복의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한복은 서양 의복과는 구조가 다르다. 부위별 명칭도 독특하다. 과거엔 일상적으로 부르던 명칭이다. 현대에는 생소하다. 저고리 가운데 고름과 소매 아랫부분의 배래선은 유행의 흔적을 보인다. 고름의 경우엔 원래 의복을 정돈하는 기능이 있다. 점차 그 길이가 길어진다. 장식의 비중이 높아졌다. 좌우가 바뀌면 곤란한 남자 바지다. 남자 바지는 얼핏 앞뒤가 구분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엄연히 앞과 뒤가 구분되어있다. 바지는 큰 사폭이 오른쪽이다.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어야 한다. 헐렁한 바지 허리 부분을 앞으로 당겨 왼쪽으로 접는다. 왼쪽의 마루폭괴 사폭의 시접선이 왼쪽 허벅지 중앙을 지나는 정도가 가장 적합하다. 그다음 허리끈을 맨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한복은 여러 양식으로 변화했다. 현재의 한복의 모습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정착되었다. 사회적, 경제적 변동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개혁사상을 통한다. 한복은 옷감을 평면적으로 재단하지만 입체적으로 보이는 특징이 잇다. 어떠한 체형도 잘 맞는다. 한옥의 좌식 새활에 적합하다. 한복을 입은 사람에게 점잖고 엄숙한 분위기와 우아함이 나타난다. 옷을 입은 모양에 따라 맵시가 드러난다. 그에 따라 생기는 주름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미적 요소이다. 한복은 입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는 유연함이 특징이다. 유연함을 선호한 한복은 명주와 비단 등의 섬새한 재료가 쓰인다. 족두리와 화관, 노리개, 부채 등 장신구에도 섬세한 술 장식을 단다.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고 떨리는 효과를 나타내어 한복의 멋스러움을 한껏 강조합니다. 한복의 장점은 매우 많다. 입고 벗기도 편하다. 몸을 넉넉하게 감싸주는 풍성함이 체형의 결점도 가려준다. 치마와 저고리, 바지가 모두 납작하다. 키 작은 반닫이로 충분하다. 요즘엔 현대 한복도 많이 나온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전통 주류의 종류 (0) | 2022.02.16 |
---|---|
꽃신의 유래 (0) | 2022.02.15 |
한국의 전통음식 비빔밥 만드는 방법 (0) | 2022.02.14 |
한국 전통음식 (0) | 2021.09.17 |
추석 민속놀이 (0) | 202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