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생은 처음이라
추억의 민속놀이 공기놀이 본문
추억의 공기놀이가 생각이 납니다. 공기놀이를 하기 위해 쉬는 시간에 친구들이 모여 함께 공기놀이를 했습니다. 공기놀이는 다섯 개의 돌 같은 것으로 합니다. 그것을 공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공기의 수는 5개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하기도 합니다. 공기는 조그맣고 동그란 모양이면 됩니다. 그것을 던져 손으로 잡으며 놀이를 합니다. 어린이들의 놀이입니다. 스마트폰이 없던 그 시절에는 공기놀이는 재밌는 놀이였습니다. 공기놀이는 두 명 혹은 세명이 모여 편을 먹고 하기도 합니다. 세명 이상이 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놀이를 즐길 수 있습니다. 공기놀이는 전국에 퍼져 있는 보편적인 놀이입니다.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경상북도에서는 짜게 받기라고 합니다. 경상남도에서는 살구라고 합니다. 전라남도에서는 닷짝걸이라고 합니다. 그밖에 좌돌리기가 있습니다. 조개질이 있습니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공기놀이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있습니다. 공기놀이의 유래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도토리 알 크기의 공깃돌을 다섯 개 준비해야 합니다. 공깃돌은 알맞게 생긴 돌을 주워 모으기도 합니다. 마땅한 돌이 없으면 적당한 크기로 다듬기도 합니다. 차돌로 만든 공기는 부딪치는 소리가 맑습니다. 놀이를 하면서 경쾌한 느낌을 준다. 현대에 들어서는 공기를 판매합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공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놀이 방법은 지방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섯 개의 공깃돌을 손바닥에 쥡니다. 그중 한알을 위로 던져 올립니다. 동시에 나머지 네 알은 얼른 땅바닥에 놓습니다. 던져 올린 돌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받습니다. 그 돌을 다시 던져 올립니다. 땅바닥의 돌 한알씩과 내려오는 돌을 같이 잡기를 네 번 한다. 돌을 잡을 때 옆의 돌을 건드리면 안 됩니다. 내려오는 돌을 못 잡아도 실격이 됩니다. 다음 차례 사람에게 순서가 넘어갑니다. 한알씩 잡기를 성공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두 번째로는 두 알씩 잡기를 두 번 합니다. 세 번째로는 한 번에 세알을 잡습니다. 나머지 한알을 잡는다. 다음 네 번째로는 땅바닥의 네 알을 한꺼번에 쓸어잡습니다. 다섯 번째로는 다섯 알을 다 쥐어서 던져 올립니다. 그리고 손등으로 받아 냅니다. 공깃돌들을 다시 올렸다가 떨어지는 것을 다 한꺼번에 채어 잡는다. 다섯 번째 채어 잡기를 할 때 방법이 있습니다. 손등에 얹혔던 돌이 셋이면 3년이라고 말합니다. 다섯이면 5년이라고 계산합니다. 손등에 얹혔던 돌을 던져 올립니다. 채어 잡을 때 하나라도 놓치면 실격이 된다. 그리고 작은 손등에 얹힌 돌들을 손등을 움직여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채어 잡기 좋게 조절하고 모으느라고 안간힘을 쓰게 된다. 손등에 공깃돌이 하나도 얹히지 않습니다. 실격이 되어 역시 공깃돌을 다음 차례에 넘겨주고 기다려야 한다. 실수 없이 연속적으로 성공하면 계속해서 진행합니다. 공기놀이의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서로 돌을 많이 차지하는 내기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것을 많은 공기라고 합니다. 수십 개의 공깃돌을 두 손에 모아 쥡니다. 그리고 던져 올려서 먼저 그중 한알만을 잡습니다. 이 한알을 던져 올립니다. 땅바닥의 돌을 몇 개씩이건 잡을 수 있는 만큼 쓸어잡습니다. 떨어지는 한알을 합쳐 잡는다. 바닥의 옆 돌을 건드리면 안 됩니다. 떨어지는 한알을 합쳐 잡지 못하면 실격됩니다. 그렇게 해서 많이 잡은 사람이 이깁니다. 이 놀이는 어린이들의 손재주나 운동신경에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대인관계의 훈련에도 좋습니다. 조심성과 침착성도 함께 길러주는 놀이입니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다스리는 민속놀이 투호놀이 (0) | 2022.07.16 |
---|---|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줄타기의 위대함 (0) | 2022.07.15 |
민속놀이 제기차기 방법 (0) | 2022.07.08 |
추억의 딱지치기 (0) | 2022.07.05 |
민속놀이 굴렁쇠를 굴리는 방법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