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번생은 처음이라

대한민국 문화유산 본문

한국전통

대한민국 문화유산

아로마인유월인 2022. 5. 18. 21:29

우리나라 유네스코 문화유산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세계 유네스코 문화유산은 어릴 적 사회과목의 시험문제였다. 지금은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다시 공부했습니다. 한국의 세계 유산은 2021년 등재 기준으로 15개이다. 무형문화유산은 2020년 등재기준으로 21개이다. 조선왕릉이 있다. 한국의 서원이 있다. 한국의 산지 승원이 있다.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있다. 한국의 갯벌이 있다. 고창과 강화 그리고 화순의 고인돌 유적이 있다. 남한산성이 있다.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있다. 제주 화산섬괴 용암동굴이 있다. 석굴암과 불국사가 있다. 한국의 역사마을인 하회와 양동이 있다. 수원 화성이 있다. 종묘가 있다. 창덕궁이 있다. 해인사장경판전이 있다.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은 국보이다. 지정일은 1962년 12월 20일이다.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에 위치해 있다. 해인사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에 지은 사찰이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다. 고려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고도 부른다. 장경판고라고도 한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 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이다. 해인사에 남아 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처음 지은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기록에 따르면 1481년에 고쳐 짓기 시작하였다. 1488년에 완공했다고 한다. 깊은 산속에 있어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1622년과 1624년에 수리했다. 계단을 따라 보안문으로 들어서면 크기와 양식이 비슷한 2채의 건물이 남북으로 배치되어 있다. 창덕궁은 조선 왕조의 도성인 한양에 있다. 북쪽에 위치했다. 이궁이다. 응봉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 자락에 자리 잡았다. 궁의 동쪽으로는 창경웅이다. 동남쪽으로는 종묘이다. 서쪽으로는 경복궁이다. 수원화성은 조선 제22대 왕인 정조가 세자로 책봉되었다. 당쟁으로 왕위에 오르지 못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천봉 하였다.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 규모인 수원 화산으로 천봉 했다. 수원 화산 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수원화성은 규장각 문신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성화 주략을 지침서로 하였다. 재상을 지낸 영중 추부사 채제공의 총괄 아래 조심태의 지휘로 1794년 1월에 착공에 들어갔다. 1796년 9월에 완공하였다. 축성 시에 거중기를 이용했다. 녹로 등 신기재를 특수하게 사용했다. 장대한 석재 등을 옮기며 쌓는데 이용하였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의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왕가의 사당. 사적이다. 1963년 1월 18일에 사적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총면적은 5만 6503평이다. 어마어마하다. 서울 종로구 훈정동에 있다. 접근하기 매우 쉽다. 나도 나중에 한번 가봐야겠다. 종묘의 정전에는 19실에 19위의 왕과 30위의 왕후 신주를 모셨다. 종묘는 유교 지배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의 역대 왕과 왕비를 봉안한다. 그리고 죽은 뒤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방안 한다. 국가적인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오늘은 대한민국 문화유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잊지 않고 꼭 기억해야겠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전래동화는 어떤 것이 있을까?  (0) 2022.05.22
한국 음식 불고기  (0) 2022.05.19
대한민국 국화 무궁화  (0) 2022.05.16
전통 건축 단청  (0) 2022.05.15
제주 돌하르방 전통 문화  (0) 2022.05.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