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생은 처음이라
제주 돌하르방 전통 문화 본문
제주도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다. 바로 돌하르방이다. 돌하르방은 그 옛날 읍성을 지키던 수호신이었다. 돌하르방은 제주의 전통문화이다. 석상이다. 둥글고 돌출된 눈을 하고 있다. 굳게 다문 입이 특징이다. 입을 굳게 다문 채 벙거지 모자와 같은 모자를 쓰고 있다. 한쪽 어깨를 구부린 자세로 올렸다. 돌하르방의 움켜쥔 손이 배를 감싸고 있다. 제주의 돌하르방은 독특하다. 구멍이 송송 뚫린 현무암으로 만들어졌다. 질감도 독특하다. 돌하르방은 대한민국 제주도의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돌로 만든 할아버지라는 뜻이다. 돌하르방은 오랫동안 아이들의 입에서 전해져 온 말이다. 1971년 제주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되면서부터 정식 명칭으로 굳어졌다. 이전에는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달랐다. 제주시에서는 우석목이라고 불렸다. 성읍리에서는 벅수머리라고 불렀다. 혹은 무석목이라 했다. 한국의 돌하르방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았다. 효종 4년인 1653년 이원진이 편찬한 탐라지에 돌하르방은 제주읍에 있었다. 영조 30년인 1754년 김몽규가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김몽규가 돌하르방을 본래 있었던 것을 성문 앞으로 옮겨다 세운 것인지가 분명치 않다. 돌하르방이 1754년 무렵에 존재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돌하르방이 어디서 왔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육지영향설말고도 남태평양에 널리 퍼진 거인숭배신앙이 우리나라에 전파된 것으로 본다. 남방기원설과 돌하르방이 훈촐로라 불리는 석인상과 닮은 것으로 보인다. 제주가 몽골의 지배받을 때 몽골로부터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하는 몽골기원설과 그외 제주자생설 등이 있다. 현재 돌하르방은 제주시에 21기가 있다. 정의와 대정에 각각 12기가 있다. 서울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에 2기 등 모두 47기가 남아 있다. 원래 48기였는데 1기는 소실되었다. 제주시에는 제주대학교에 4기가 있다. 제주 KBS방송국에 2기가 있다. 제주시청에 2기가 있다. 삼성혈에 4기가 있다. 제주공항에 2기가 있다. 관덕정에 4기가 있다.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에 2기가 있다. 목석원에 1기가 있다. 이것들 모두 조금씩 다른 모양새이다. 그러나 대체로 제주시의 돌하르방들은 다른 지역의 그것보다 몸집이 크다. 그리고 근엄한 표정이다. 권위를 앞세운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 기념품으로 만들어졌다. 우리 눈에 익은 돌하르방은 이곳 제주시의 돌하르방을 모델로 한 것이다. 제주도를 상징하는 세계적인 얼굴이 되었다. 그러나 문화적 원류나 전파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본래 위치와 기능 등이 아직 명쾌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여러 각도에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돌하르방의 기능에 대해 민속학자들은 크게 3가지로 보고 있다. 첫째 성안 사람들의 강녕과 융성을 지켜주는 수호신적 기능을 가졌다고 본다. 전염병을 막아준다는 믿음이다. 돌하르방의 코를 빻아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다. 돌하르방의 주술종교적 기능면을 드러낸다. 셋째는 돌하르방이 성문에 세워져 있다. 마을 경계를 분명히 알려주는 위치표지적 기능도 가졌다. 따라서 외부사람들은 함부로 돌하르방을 지나쳐 성내로 들어가지 않았다. 이렇게 볼 때 돌하르방은 한반도 마을 어귀에 세웠던 장승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돌 많고 비바람 잦은 제주섬 선조들은 그들의 기원을 비바람에도 지워지지 않도록 단단한 검은 현무암에 조각했던 것이다. 오늘날 그 후손들도 제주인의 자부심을 표현하듯 돌하르방을 자랑스레 문밖에 세우고 있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국화 무궁화 (0) | 2022.05.16 |
---|---|
전통 건축 단청 (0) | 2022.05.15 |
가마솥의 유래 (0) | 2022.05.11 |
대한민국 기념일 (0) | 2022.05.08 |
가면을 사용하는 탈춤 (0) | 202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