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번생은 처음이라

한국 온돌 본문

한국전통

한국 온돌

아로마인유월인 2022. 4. 28. 23:50

남쪽 지방은 평야가 넓다. 여름이 길고 무더운 기후 특징이다. 여름을 시원하게 지내기 위해 설계된다. 넓은 대청마루와 바람이 잘 통하는 가옥구조이다. 북쪽 지방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철 추위가 심하다. 방한과 방온을 위해 방이 두 줄로 배열되는 겹집 구조를 나타낸다. 주거 공간을 여러 건물로 분산시키는 형태의 가옥이 발달한다. 살림채는 비교적 규모가 작고 방이 한 줄로 배열된다. 통풍에 유리한 구조가 발달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옥은 기와집과 초가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초가집은 거의 없어졌다. 기와집은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기와집은 곡선형이다. 남향으로 집을 짓는다. 소나무 기둥에다 기와로 지붕을 장식한다. 안방과 사랑방이 있다. 그리고 건너방과 마루와 부엌이 있다. 화장실은 마당 한편에 있다. 집 마당 주위로 담을 쌓는다. 대문이 있다. 집이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다. 겨울의 추위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방안의 구조는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온돌방은 편편한 돌을 깔아 진흙으로 다진다. 부엌에 달린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온돌방 전체가 데워지도록 되었다. 온돌은 방바닥에 따뜻한 열기가 지나가게 하여 방 전체를 데우는 난방 방식이다. 한반도에서 오랜 세월 동안 이어진다. 식생활과 주생활에 큰 영향을 끼친다. 나는 온돌바닥이 없으면 안 된다. 외국에서 지낼 때 가장 힘든 부분이다. 한국은 방바닥이 따뜻해서 좋다.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온돌이라는 명칭은 조선왕조실록 세종 편에 최초의 기록이 있다. 명칭이 온돌로 굳어진 것은 19세기 이후부터다.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은 지형적인 특성과 기후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배산임수는 추운 겨울철에 북서 계절풍을 막아주고, 연료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물이 흐르고 있어 식수 및 농업용수의 해결이 용이하였다. 한반도는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의 특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후에 적합한 주거 형태가 발달하였다.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화기가 방 밑을 지난다. 방바닥 전체를 덮게 하는 방법이다. 한국 전래의 난방장치로 구들이라고도 한다. 전통 방식의 아궁이의 넓적 돌 구조로 바닥을 데우는 것을 구들이라고 말한다. 현대적인 파이프 난방까지 포함해서 온돌이라고 하는 식으로 구분해서 쓰인다. 온돌의 채 난 원리는 열의 전도를 이용한다.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돌인 구들장에 화기를 도입시킨다. 그리고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한다.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한다. 형식상 라디에이터와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라디에이터는 건조하다.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된 온돌은 한국인에게 좌식, 맨발 생활과 단층 주거 건축 양식을 정착시켰고, 역설적이게도 현대에 들어서도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가 되었다. 서양인들이 복층 단독 주택을 선호하는 것에 비하면 대조적인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4세기 옥저 시대부터 온돌이 발명되었다. 실제로는 구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이때 온돌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고구려 때는 긴 구덩이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불을 때어 따뜻하게 한다는 기록이 구당서에서 나온다. 같은 기록에서 '백제는 고구려와 습속이 유사하다고 이야기한다. 백제에서도 이미 온돌의 초기 형태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당시의 온돌은 방 일부만 데우는 ㄱ자 형태였다. 이후 고려 시대 중기로 와서 현재의 방 전체를 데우는 온돌의 구조가 완성되었다. 아궁이는 온돌 난방과 취사를 동시에 해결이 가능하다. 아궁이를 이용하면서 국물 요리가 발달했다. 뼈대를 제외한 바닥과 벽체를 황토흙으로 짓는 건축 구조 때문이다. 바닥에 난방을 한다는 아이디어도 없었을 것이다. 온돌이 개발된 덕분에 방바닥에 장판을 깐다. 그래서 위생적이게 생활이 가능하다.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무용 부채춤  (0) 2022.04.30
한국 전통 운동 태권도  (0) 2022.04.29
우리나라 전통 종이 한지  (0) 2022.04.27
한국의 문자 한글  (0) 2022.03.23
한국 전통 악기  (0) 2022.03.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