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생은 처음이라
흔하지 않은 성 심씨 본문
심씨의 본관은 청송 심과 풍산 심씨가 있다. 그리고 삼척과 부유와 의령 그리고 전주까까지 총 6본이다. 청송심씨가 대종으로서 심씨는 대개 청송을 유일본으로 주장한다. 언제 분적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심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4명이었었다. 상신 15명이다. 문형은 2명이다. 왕비는 3명이다.부마는 4명을 배출하였다. 조선 10대 벌열의 하나로 꼽힌다. 풍산심씨의 상신 2명을 제외하고 전부 청송심씨에서 나왔다. 청송심씨 시조는 고려시대 위위시승을 지낸 심홍부이다. 그의 증손인 고려 말의 문하시중 심덕부와 전리판서와 심원부 형제 때에 경파와 향파로 크게 갈린다. 경파인 심덕부는 조선 개국 후에 문하 좌정승을 지냈다. 그의 후손은 대대로 서울에 살면서 벼슬을 지냈다. 향파인 심원부의 자손들은 고려가 망하자 새 왕조의 벼슬을 거부했다. 두문동에 들어간 심원부의 유훈을 지켜 대대로 고향에 살면서 벼슬을 멀리하였다. 경파는 서울집이라고도 부른다. 심덕부의 아들 7형제에서 도총제공파가 있다. 판사공파가 있다. 성주지사공파가 있다. 인수부윤공파가 있다. 안효공파가 있다. 청원군파가 있다. 동지총공파의 7파로 갈라진다. 그 중에서도 넷째 심징과 다섯째 심온의 자손이 크게 번창하였다. 특히 심온은 세종의 국구로서 영의정을 지냈다다. 여섯째 심종은 태조 이성계의 부마가 되었다. 그러나 심온은 태종의 외척세력 숙청에 의해 누명을 받고 사사당했다. 그의 작은아들 심회도 영의정을 지냈다. 심덕부까지 넣으면 3대가 영의정을 지낸 셈이다. 심회의 후손에서 상신 8명이다. 대제학 2명이다. 왕비 2명이다. 부마 1명이다. 심징의 후손에서 영의정 1명이다. 부마 2명이다. 심온의 큰아들 심준의 후손에서 영의정과 좌의정이 1명씩 나왔다. 심연원의 아들 심강은 명종의 국구이다. 여섯째 아들 충겸이 병조판서를 지냈다. 그의 아들 심열은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심열의 현손 심호는 경종의 국구이다. 연원의 둘째 아우 봉원의 손자 희수는 선조 때 대제학과 좌의정을 지내고 청백리에 올랐다. 의겸은 영의정 심연원의 손자이다. 명종비 인순왕후의 동생으로 김효원과 함께 분당의 발단이 된 장본인이다. 심씨는 선조 때를 고비 였다. 사색당쟁의 주역 또는 조역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같은 문중에서도 학통 관계나 혼인으로 인하여 파가 갈라졌다. 그래서 대립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대체로 서인인 청송심씨 중에서도 현종 때 경연관을 지낸 광수이다. 숙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재 등은 남인의 과격파였다. 관찰사 예조판서를 지낸 심단(沈檀)은 남인이면서 소론과 가까워 노론에 의하여 실각이다. 유배되었다. 심의겸은 분당의 장본인이 되었다. 원래는 붕당의 형성을 꺼려했다. 명종 때 그의 외숙인 이량이 사화를 일으키려 할 때 이를 사전에 막아내기도 하였다. 의겸 형 인겸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다. 영조 때의 영의정 수현과 이조판서 택현은 6대손이다. 정조 때의 영의정 환지와 예조판서 풍지는 8대손이다. 영조의 부마 능건은 9대손이다. 고종 때의 영의정 순택과 예조판서 경택은 11대손이다. 풍산심씨의 심정은 연산군을 몰아낸 중종반정의 공신이다.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기묘사화를 일으켰다.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했다. 김안로의 탄핵으로 유배했다. 사사되었다. 그의 아들 사손과 사순 형제와 손자 수경은 명신으로 이름났다. 그밖에 인조반정의 공신으로 좌의정을 지냈으나 반란을 일으키려했다. 주살된 청송심씨의 기원합니다. 1960년도 국세조사에서는 2만 3677가구에 인구 13만 4169명으로 성별 순위는 258성 중 제32위였다. 1985년도 조사에서는 순위는 274성 중 제31위였다. 청송 심씨는 경상북도 청송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입니다. 시조 심홍부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으로 위위시승을 역임했습니다. 그의 생몰연대나 사적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없어 알 수가 없다. 막상 찾아보면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드물지도 않다. 쉽게 말하면 마음만 먹으면 찾을 수 있을 만큼 적절한 수준이다. 실제로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가장 많다. 의외지만 인구 비율로만 보면 강원 영서지방이 가장 높다. 강원도 영동지방에는 청송 심씨가 적고 대부분 삼척 심씨이다. 세도가문으로서 역사에 자주 거론이 된다. 특히 조선조에 들어와서 종묘 배향 인물 1명을 배출했다. 이외 왕비 3명와 상신 13명입니다. 문형 2명입니다. 청백리 2명입니다. 호당 2명입니다. 공신 8명입니다. 장신 1명입니다. 다만 문묘 배향공신은 배출하지 못했다.서인의 태두 심의겸을 위시로 노론의 중핵 가문 중 하나.
'한국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203명의 문과 급제자 신씨 (0) | 2022.08.15 |
---|---|
한국의 성씨 문씨 (0) | 2022.08.14 |
고조선시대의 연원을 둔 한씨 (0) | 2022.08.12 |
한국에서 16번째로 많은 성씨 전씨 (0) | 2022.08.11 |
오씨의 성씨 유래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