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전통 (83)
이번생은 처음이라

양손에 접부채를 들고 추는 춤이다. 어릴 적 재롱잔치에서 했던 기억이 난다. 부채춤은 1954년 11월 김백봉에 의해 창작된 춤이다. 부채를 양손에 들어 접고 펴고 감고 한다. 부채 사위를 중심으로 춤추는 부채춤이다. 한국 무용사의 근대와 현대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서양식 무대로 옮겨지는 변모과정을 거친다. 예술적으로 새롭게 창출되어 발전한 작품이다. 1954년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시공관에서 김백봉 무용발표회를 연 것이 공식적인 초연이다. 당시는 독무로 추었다. 삼불선이 그려진 접부채와 붉은 띠로 허리를 잘록하게 매었다. 그리고 고구려 풍의 몽두리를 변형한 복식을 하였다. 초연 후 문화영화로 제작되었다. 무려 20만 회를 웃도는 어마어마한 상영 기록을 세웠다. 국내는 물론 정부기관이나 공공..

나는 어릴 때 태권도를 배웠다. 많은 어린이들이 초등학교를 다닐 때 배운다. 국민 스포츠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무예이다. 국제공인 스포츠가 되었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에서 창안되고 발전한 현대 무술이다. 대한민국의 국기이다. 발차기를 중심으로 손과 발을 사용한다. 다른 신체부위를 이용한다. 상대방을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것을 지향한다. 매년 9월 4일은 태권도의 날로 지정되어있다. 현재 올림픽 종목이다. 세계태권도연맹 태권도에는 손 기술과 막기 기술도 가르친다. 실제 대련에선 발차기의 점수가 크다. 거의 발차기가 중심이다. 몸통을 주먹으로 가격할 시 1점이다. 몸통을 직선 발차기로 가격하면 2점을 받는다. 높은 점수는 몸통을 회전 발차기이다. 회전 발차기로 가격하면 3점이다. 머리를 직선 발차기..

남쪽 지방은 평야가 넓다. 여름이 길고 무더운 기후 특징이다. 여름을 시원하게 지내기 위해 설계된다. 넓은 대청마루와 바람이 잘 통하는 가옥구조이다. 북쪽 지방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겨울철 추위가 심하다. 방한과 방온을 위해 방이 두 줄로 배열되는 겹집 구조를 나타낸다. 주거 공간을 여러 건물로 분산시키는 형태의 가옥이 발달한다. 살림채는 비교적 규모가 작고 방이 한 줄로 배열된다. 통풍에 유리한 구조가 발달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옥은 기와집과 초가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초가집은 거의 없어졌다. 기와집은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기와집은 곡선형이다. 남향으로 집을 짓는다. 소나무 기둥에다 기와로 지붕을 장식한다. 안방과 사랑방이 있다. 그리고 건너방과 마루와 부엌이 있다...

한지는 한국의 전통 종이이다. 한국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닥나무로 만든다. 그래서 닥종이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사용된지는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중국의 제지 기술이 기원후 2세기에서 6세기이다. 삼국시대 때 만주나 한반도로 유입됬다고 본다. 종이를 최초로 개발한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으로부터 문물을 받아들인 것이 많다. 이것을 사실상 정설로 본다. 신라와 고려지 등으로 불리며 품질이 뛰어낫다고 한다. 조선시대 말에서 일제강점기 때 서양식 종이가 들어왔다. 현대에 들어서 싸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종이가 많다. 그리고 많이 필요하다. 한지의 명맥을 이어가는 장인들이 있다. 2010년대 부터 서양에서 문화재 복원에 한지가 쓰이기 시작했다. 갈라진 캔버스를 정면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

한글은 한국에서 사용하는 문자이다. 조선 전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였다. 우리나라의 고유의 문자이다. 어려운 한자를 빌려 문자로 사용하게 될 경우의 문제를 생각해본다. 민족 정서와 정확한 정보 기록과 소통 자체가 불가하다. 의사를 기록하고 전달할 방법이 없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한글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한글은 발성기관의 모양을 본뜬 자음이 있다. 그리고 천지인의 모양을 본뜬 몽므으로 구성된다. 과학적인 음운학 연구 토대로 누구나 습득할 수 있다. 세계 역사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렵다. 독창적인 문자이다. 한글은 남한과 북한, 연변 지역에서 사용하는 공용 문자이다. 현대 기준 기본 자음 14자가 있다. 기본 모음 10자이다. 음소문자이다.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끼리 합쳐 새로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