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7)
이번생은 처음이라

해적과 병사 게임이라고도 부른다. 오징어를 닮은 그림때문에 오징어놀이라고 불린다. 규칙은 매우 간단하다. 아이들이 무리지어 공격과 수비를 정한다. 두편으로 나누는 것이다. 게임이 시작되면 선 안의 수비자는 두 발로 움직인다. 선 밖의 공격자는 깽깽이 발을 한다. 공격자가 기회를 노린다. 오징어의 허리를 가로지른다. 두 발로 자유롭게 다닐 수 있게된다. 이것을 암행어라사로 부른다. 왜 암행어사인지는 이유를 알 수 없다. 1980년대까지 한국 어린이들 사이에서 유행한 놀이다. 맨땅에 금을 긋고 시작한다. 요즘 놀이터나 학교 운동장은 흙 바닥이 아니다. 우레탄이나 인조잔디가 깔려있다. 매우 아쉽다. 어릴때 흙과 모래에서 뛰어노는 재미가 있었다. 땅에 쉽게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그리고 흙과 모래냄새를 알았다...

비석치기는 해본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궁금했던 우리나라 민속놀이입니다. 비석치기를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비석치기는 일정한 거리에서 손바닥만한 작은 돌을 발로 찹니다. 혹은 던집니다. 그렇게 상대의 비석을 쓰러뜨리는 놀이입니다.비석치기는 봄과 가을에 초등학교에서 시작되엇습니다. 학교를 다니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하는 놀이입니다. 지역에 따라서 비사치기라고 부릅니다. 혹은 비석차기라고 합니다. 비석까기라고도 부릅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비석치기는 오랜 역사성을 지닌 전래놀이입니다. 그래서 비석치기의 유래는 분명치 않다. 다만 민간에서 구전되는 유래담으로 알 수 있습니다. 이 놀이가 형성된 배경에는 조선 후기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비석거리 ..

어릴 적 팽이치기 놀이는 늘 유행이었습니다. 어린아이들끼리 삼삼오오 모여 팽이를 치던 시절이 있습니다. 미끄러운 바닥에서는 팽이가 잘 돌았습니다. 팽이가 유행하면서 팽이 장난감도 많이 판매했습니다. 팽이를 돌려서 누구의 팽이가 더 오래 돌아가나를 겨룹니다. 팽이치기는 한국 전통놀이입니다. 꼭 누군가와 경쟁하지 않아도 됩니다. 팽이가 돌아가는 것이 재밌습니다. 혹은 얼마나 오래 돌아가는지 기록하기도 합니다. 팽이치기는 끈 달린 막대기를 사용하는 놀이입니다. 막대기에 달린 끈으로 돌아가는 팽이에 계속 칩니다. 그리고 돌아가는 팽이가 잘 돌아가게 먹여줘야 합니다. 끈의 길이가 짦으면 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팽이치기 끈의 길이는 긴 편이 좋습니다. 못하는 사람은 노력을 해도 팽이를 못 돌린다고 합니다. 팽이..

널뛰기는 설날이나 추석에 즐긴다. 주로 설에 많이 즐긴다. 하지만 단오나 추석에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놀이를 즐겼다. 정초에 젊은 여자들이 하는 대표적인 놀이이다. 그리고 역동적이며 발랄한 놀이이다. 설빔으로 곱게 단장하고 널뛰기를 하기도 했다. 여자들이 널을 뛸 때마다 휘날리는 치마자락과 옷고름의 모습이 매우 아름답게 보여졌다. 긴 널빤지의 한가운데에 짚단이나 가마니로 밑을 받친다.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선다. 그리고 마주보고 번갈아 뛰면서 즐기는 성인여자놀이이다. 뛰기의 이름자를 풀이해보았다. 널과 뛰기를 합쳤다. 넓고 긴 직사각형의 널빤지 위에서 뛴다. 그리고 말아놓은 멍석 같은 것 위에 얹는다. 널빤지 양 끝에 두 사람이 서있는다. 그리고 교대로 뛰어오른다. 시소와 같은 전통놀이다...

한국의 민속놀이 중 하나인 씨름을 알아보았다. 씨름은 전통 레슬링이다. 어원은 한국어 어휘 힐홈이다. 논쟁하나라는 뜻을 지닌다. 또는 다투다는 뜻을 지닌 어휘이다. 택견에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다. 다른 무형문화재와는 다른 점이 있다. 씨름은 한국 전역에 기반을 둔다. 씨름은 모래판에서 한다. 매트에서도 한다. 샅바를 허리춤에 둘러맨다. 그리고 두 명의 선수가 게임을 한다. 두 선수는 서로 샅바를 잡는다. 다리와 손이나 허리의 기술로 상대를 넘어뜨린다. 발바닥을 제외하고 상대의 신체 어느 부위라도 먼저 땅에 닿으면 승부가 난다. 무척이나 단순한 경기이다. 하지만 한 순간의 실수로 패배할 수 있다. 체중이 쏠리면 자세가 무너진다. 자세가 무너지면 신체가 땅에 닿기 쉽다. 그래서 실점으로 직격 되는 문..